전체 글 1218

‘단면형? 양면형?’ 우왕좌왕 검사 규정에 태양광 업계 대혼란, 단면형 모듈 기 발전사업허가 설치 시 원점 재검토 비용부담 가중, 전기안전공사 사용전검사 시 양면형 모듈 적용 해석

‘단면형? 양면형?’ 우왕좌왕 검사 규정에 태양광 업계 대혼란KS인증 개정 따라 양면형 모듈 기준값 명시 요구기 허가·설치 발전소는 “원점 재검토해야” 부담 토로전기안전公 “규정대로 사용전검사 적용 해석”발전사·개발사·제조사 “산업 전반 모두 피해” 지적(전기신문 2025.01.21.) 사진은 기사의 특정사실과 관련 없음. [사진=연합뉴스] #단면 모듈 출력(STC) 기준으로 태양광 발전사업 허가를 받은 A씨는 전기안전공사의 사용전검사 단계에서 양면 모듈 출력(BNPI) 기준을 요구받아 설비를 철거하고 재설치를 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또 다른 발전사업자 B씨는 양면 출력(BNPI) 기준 적용 소식을 듣고 사업 절차를 원점에서 다시 시작해야 하는 상황이다.지난해 9월 개정돼 유예기간을 거치고 있는 양면..

카테고리 없음 2025.01.30

태양광 고정가격계약 네 번째 미달...RPS 일몰 빨라질까, 24년도 하반기 장기계약(고정가격계약) 평균 155.269원/KW, 23년 하반기 150.947원/KW 대비 4.3원 인상, 응찰 물량은 공고 물량 1000MW 대비 8% 수준인 80MW, 최종 낙찰물량은 공고 대비 약 7% 수준인 72MW 마감

태양광 고정가격계약 네 번째 미달...RPS 일몰 빨라질까1000MW 공고 물량 대비 8% 응찰...최종 낙찰은 72MW낙찰 평균가 15.5만원대로 전년 比 4300원 인상상한가 인상 등 사업성 강화 불구 미달사태 못 막아존폐 기로 선 고정가격계약, 고개 드는 경매제도 이행(전기신문 2024.12.26.)[출처=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전기신문 재정리]태양광발전소가 20년간 전력 당국과 장기계약을 체결하는 ‘태양광 장기고정가격계약’이 올해도 미달 사태를 피하지 못했다. 정부가 수익성을 강화할 각종 조치를 내놓았지만 발전사의 외면은 공고했다. 일각에선 이번 입찰이 RPS 제도에 대한 사실상의 종언과 같다며 경매제도 이행이 앞당겨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는 지난 24일 이..

“67% 줄어든 태양광 잠재 면적… 규제 완화 없이 탄소중립 벽 못 넘어”, ‘기후위기 대응 선결과제’로 인허가 규제 지목,이격거리 축소 및 폐지 해야, 고도제한 가로막힌 해상풍력 등

“67% 줄어든 태양광 잠재 면적… 규제 완화 없이 탄소중립 벽 못 넘어”기후솔루션, ‘기후위기 대응 선결과제’로 인허가 규제 지목이격거리로 잠재 입지 급감...태양광 필요설치량 450GW ‘요원’‘고도제한’ 가로막힌 해상풍력 “2012년 기술수준 따라야 할 판”(전기신문 2024.12.05.)지자체별로 우후죽순 생겨난 이격거리 규제로 인해 태양광 발전소 잠재입지가 급감하고 있다. [제공=기후솔루션] “태양광 이격거리 규제는 개발행위허가기준 중 단 하나의 규정이지만, 잠재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하다.”최재빈 기후솔루션 정책연구원은 4일 서울역 상연재에서 열린 미디어 브리핑에서 “최소한 이격거리 규정은 폐지 내지 축소가 시급한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이날 미디어 브리핑은 재생에너지 확대를 가로막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