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년 태양광 등 에너지전문인력 양성

에너지전문인력 355억 투입해 1500명 양성한다,태양광 풍력 등,산업부, ‘2018 인력양성계획안’ 발표...에너지, 산업 등 전문인력 8000명 양성

그라운딩 2018. 1. 11. 13:28

에너지전문인력 355억 투입해 1500명 양성한다

산업부, ‘2018 인력양성계획안’ 발표...에너지, 산업 등 전문인력 8000명 양성

(18,01,10)


[에너지신문] 정부가 올해부터 355억 41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에너지효율, 신재생, 전력, 원자력 등의 ‘에너지 R&D 전문인력’ 1500여명을 양성한다. 이는 4차 산업혁명 도래 등 대내외적인 정책환경 변화로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일자리, 고용형태, 직무역량 등이 빠르게 변화하는 것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백운규)는 혁신성장과 일자리 중심 경제를 뒷받침하기 위해 에너지ㆍ무역ㆍ지역·산업 등의 분야별 전문성을 갖춘 산업인력 8000여명 양성을 주요 내용으로 담은 ‘2018 산업부 인력양성 계획안’을 10일 발표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관련 예산 1400억원에서 올해 63억 5000만원(4.5%) 증가한 1463억 5000만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올해 에너지 전문인력 1500명, 지역 연구인력(산학융합지구조성) 2463명, 산업별 전문인력(바이오, 나노융합) 2684명을 비롯해 무역 및 FTA 전문 인력을 각각 1280명, 150명 양성한다.

또한 산업단지 근로자 5340명에 대한 평생학습 교육과 전국 71개 공과대학생 2만 1000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종합설계(캡스톤디자인) 교육지원, 경력단절 여성연구원 120명의 재취업 지원 등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에너지 분야에서는 에너지전환 대응과 미래 에너지산업 선도를 이끌어가기 위해 태양광, 풍력, 원전해체 등의 석박사 R&D전문인력 양성의 정부예산 25억 8000만원을 신규지원 한다.

에너지ㆍ자원, 기후변화 대응, 신재생·전력·원자력 분야에서 학부, 대학원생, 재직자 등을 대상으로 기업 R&D와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315억 2000만원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현장맞춤형 연구전문인력 1500여명을 양성한다.

이외에도 정부예산 80억원을 투입해 첨단신소재 3D프린팅, 친환경 스마트선박, 웨어러블 스마트디바이스, 고신뢰성 기계부품, 고부가 금속소재 등 5개 신산업에 대한 인력양성사업을 신설해 석박사급 130명을 신규로 지원한다. 또한 미래형자동차, 드론, 바이오, 나노융합 등 기존 22개 인력사업에 대한 지원도 수행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산업부는 대학생들의 일자리와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산업전문인력 역량강화사업’을 시범적용 후 타사업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이를 위해 수혜인원 학생을 대상으로 취업경로(취업, 퇴직, 재취업 등)를 3년간 추적 조사해 사업의 장기효과 및 현장의 의견을 면밀히 수렴한 후, 향후 사업집행에 반영시킬 예정이다.


박제성 기자

http://www.energ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425


==================================================================================

기존 태양광발전소 및 신규로 설치할 태양광발전소ESS (에너지저장장치 )를 설치하실 분들의 문의를 바랍니다 . (아래의 카페 가입을 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보실 수가 있음 ).

ESS,100KW 및 중대용량 200KW~MW 태양광발전소에 ESS 설치함 ,

성함 전화번호 이메일 , 자기자본액을 적어서 문자나 이메일로 요청하시면 (송부를 하시려면, 아래 전화번호와 이메일 확인요 ),사업제안서 및 견적서 수지분석자료 를 보내드립니다 .

가정용 ESS 설치 시 18년도부터 예산이 편성 될 것 같습니다(대략 80억원). 30~50% 지원 예정으로 문의 바랍니다.

-------------------------------------------------

주택(3KW) 및 공장, 창고상가 빌딩 건축물 등에 태양광발전소를 설치를 하실 경우에도 문의 바랍니다.

------------------------------------------------------------------------------

[단위 참고] : 1TW=1,000GW, 1GW=1,000MW, 1MW=1,000KW

 

신규로 태양광발전소를 설치를 하시고자 하시는 분들은 아래의 글을 읽으시고 문의 바랍니다.

 

1. 전남 영암지역 1, 2, 3, 4100KW, 350KW(700KW포함)16~1703월부로 25MW 매도 완료(논과 밭)하여 발전사업허가가 완료된 후, 대부분 개발행위허가가 완료가 되어 공사 진행 중이며, 일부 나머지 개발행위허가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2. 당사는 이미(14~16년도) 전남 해남지역에 21MW 이상 태양광발전소를 준공을 하였습니다. 06년부터 현재까지 전남 신안의 시행(한전 접속 전기 선로공사 포함) 59MW부분까지 하면, 총 약 80MW 이상의 공사를 해 왔습니다.

----------------------------------------------------------------------

위의 1번과 같이 신규로 전남 영암지역(논과 밭)에 총 18MW 용량 중에 제1차로 4.3MW 용량 [영암 100KW(43개소)], 1712월 초순부터 함.

40개소 부지매도 완료 3개소 남음(18,01,03). 추가로 부지분양을 곧 들어가니 매수요청을 바랍니다.

 

[타 전남지역 14MW, 500KW(28개소) ] 1801월 중순부터 부지매도를 하며, 태양광 발전소의 발전사업허가, 개발행위허가, 민원처리, 시공(대출포함), 유지보수까지 일체를 합니다.

 

181차 전남 영암 부지분양 100KW급 사업설명회 개최(18,01,11(18일 연기, 폭설로 인함) 목요일 오후 2)합니다.

 

지자체 개방행위허가 규제 조례(도로/마을로부터 100~1000m이격 거리 두고 태양광발전소 설치) 행하는 지자체 161135곳에서 177월 현재 78곳으로 2배 이상 늘어나 땅 찾기란 하늘에서 별 따기.

1MW이하 태양광발전소 무한 접속을 한전 측에서 해주기로 하면서, 한전 계통연계(한전접속량)량이 없는 곳에 발전사업허가 및 개발행위허가까지 발부를 해도, 한전접속량을 한전으로부터 연계가 될 때까지 공사를 할 수가 없는 전국 지역의 부지분양은 재고해야 합니다(개인 소유 토지/임차 설치시에도 상황은 같음).

그 이유는 공사를 할 수가 있는 대기시간 소요가, 1~5년의 많은 소요가 되며, 발전소 시공을 못하여, 발전하지 못한 만큼의 년간 손해액이 상당하게 됨.

 

===================================================

 

http://cafe.daum.net/sun8279 한국태양광발전사업 동호회 카페에 가입을 하시면 위의 전남영암과 타 지역 부지매도와 태양광발전사업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보실 수 있음.

명퇴, 은퇴, 희망퇴직, 일정 자본 보유자와 귀농과 귀촌, 농업인 부지임대 혹은 설치 시에도 안정적인 수익사업으로 태양광발전사업을 권장합니다.

 

문의환영: 카페지기 서정진 전무, 010-3678-4344,

sjj9191@hanmail.net

성함, 이메일, 자기자본보유액, 사시는 지역, 부지의 보유 여부 등을 문자나 이메일로 보내 주시길 바랍니다. 사업계획서(견적서, 수지분석 자료 포함)를 발송해 드립니다.

-----------------------------------------------------------------